728x90
반응형

미국 MD-PhD를 향하여 4

컴퓨터 비전의 모든 것 boostcourse 후기 + 근황 업데이트ㅎㅎ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네요 :-) 저는 미국에 온지 2달, 백수가 된지 3달이 다되갑니다. 의학과 기초과학, 공학 연구를 연결할 수 있는 의사과학자가 되는 것이 오랜 제 꿈이였습니다. 이러한 형체 없는 두루뭉술 한 꿈을 갖고 용기 있게 USMLE step1, step2를 다 치고, 이제는 미국에서 PhD를 따기 위하여 준비과정에 있네요~ 의학을 배우면서 특히 느낀점이 있다면, 1. 임상의학은 관찰 및 통계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쌓아진 학문이라는 것. 2. AI와 같은 소프트웨어 기술과 GPU등의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으로 수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는 것. 3. 이런 기술을 의료데이터(EHR, medical image, genetic data, protein)등에 접목시키려고 하는 트렌드가..

[논문쓰기] 임상 논문을 쓰면서 느낀 것들

1. 임상논문도 쓰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사실 컴퓨터 코딩하는 것도 다른 의과대학 동기들에 비해서는 편하게 하고, 예전에 통계학 과목을 들으면서도 굉장히 재미있었던 기억이 있기 때문에 임상연구에 대해서 막연히 쉬울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논문을 쓸 수록 물론 기초의학 논문에 비할게 못되지만, 임상논문을 쓰는 것도 굉장히 어려운 일임을 알게 되었다. 나는 USMLE 준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임상논문을 써 볼 기회가 있어서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다가, 막상 본업이 되어야하는 USMLE가 뒷전으로 밀리게 된 것을 경험하였다. 즉, 임상논문을 쓰려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하며, 다른 일과 병행해서 일을 끝내기란 쉬운 것이 아니다. (이것에 적응되면 모를까...) 2. 임상 ..

[USMLE 준비] - USMLE step 1 P/NP 대비 고효율 공부법

나는 작년에 한국 의사 국가고시(KMLE)랑 미국 국가고시 USMLE step1을 병행을 하다가, 번아웃이 와서 한국 의사 국가고시만 준비하였다. 그러면서 여러가지 USMLE Step1 준비를 통해 고득점 받은 선배님, USMLEKOREA에 USMLE step 1 후기들을 보면서 고효율 준비 방법을 정리하였다. USMLE 준비를 아래에 정리하겠다. USMLE 준비 1. 기초의학을 까먹은 사람 (Borads and Beyond)를 들어라! Boards and Beyond 에서 모든 내용을 다 들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기초의학을 배운지 오래되었으면 아래 리스트업한 기초강의 만큼은 듣고 시작하는 것이 시간을 빨리 줄이는 방법이다. (1) Basic Pharmacology (2) Biochemstiry (3)..

[ USMLE 준비 ] - usmlekorea 200% 활용법

USMLE 의 궁극적인 목표는 고득점이 아닌 미국 병원의 매치이다. 따라서 나의 상황과 환경에 맞는 전략을 잘 짜야된다. 이때 중요한 것이 바로 usmlekorea 와 같은 홈페이지다. 그러나 처음 접하게 되면 usmle에서 접하는 용어들이 낯설어서 이해하기 힘들 수 있는데, usmlekorea 홈페이지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어려운 용어들을 설명해주고자 이 글을 쓰게 되었다. 아래 usmlekorea 홈페이지를 누르고 내 글을 함께 읽으면 도움을 받을 수 있겠다. http://usmlekorea.com/ 1. usmle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서 이해하기 (usmlekroea : 위 사진을 보면 usmlekorea 로그인하면 처음으로 등장하는 홈페이지이다. 각각 탭에대해서 설명하자면 usml..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