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되었다!/본 3, 4 PK 실습 자료

활력징후가 중요한 이유 1) 쇼크(shock)에 대해서

생각하는 여행자 2021. 10. 1. 17:41
728x90
반응형

 

(1) 쇼크 (shock) :  조직세포에서 필요로하는 산소 및 영양소들이 요구량에 못미치게 산소및 영양소들이 조직으로 공급되는 상황을 의미.  산소, 영양소 요구량> 산소, 영양소 공급량 의 상태를 의미한다.

 

(2) 쇼크(shock)의 평가

기본적으로 shock이 의심되는 상황은 수축기 혈압이 낮을때, 심장박동수가 높을때, 맥압이 좁아질때, 염기부족, 젖산 수치가 높아질때 의심할 수 있다. 따라서 활력징후를 확인하게 되면 환자가 쇼크 상태인지 아닌지 확인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특히 활력징후와 함께 아래 지표를 확인하면 도움이 된다. 

 

- CVP (중심정맥압) ; 신체를 돌고 귀환하는 모든 혈액이 지나가는 대정맥의 압력으로, 신체의 수분상태와 우심실 기능으 을 의미한다. 

- PAWP (폐모세혈관 쐐기압) :  스완간즈 카테터를 삽입하여 폐동맥 원위부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풍청을 팽창시켰을 때의 압력으로 폐모세혈관 압력과 좌측 심장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3) 쇼크(shock)의 치료

 

쇼크는 요구량에비해서 공급량이 줄어든 상태이기 때문에 혈장의 양을 늘리고 혈압을 높여서 산소 및 영양소 공급량의 상태를 높게 해주는 것이 치료의 일종이 된다. 이러한 치료에는 크게 아래 2가지가 있다. 

 

1. 수액 요법 : 정질용액(crystalloid) , 교질(colloid) 용액 

2. 약물학적 치료 : 아래 표 참고 

종류 약 이름 기전
혈압상승 dopamine dopamine 수용체 (0-5ug/kg/min) : 신장과 장간막으로 가는 혈관 확장시켜서 소변량 증가
beta 수용체 (5-10ug/kg/min) : 수축촉진제, 강심제
alpha 수용체 (10-20ug/kg/min): 순수한 혈관 수축
혈압상승 norepinephrine 패혈증 환자 1st line 약물 
alpha 수용체 효과 main : 혈관 수축 -> 수축기, 이완기 혈압 상승/ 이완기 심실 충만압 높
epinephrine 아나필라틱 쇼크 1st line 약물 
alpha 수용체, beta 수용체 효과 : 혈관 수축, 심박동수 및 심수축력
phenylephrine alpha 수용체만! 
수축촉진 dobutamine beta 수용체 작용 : 심장의 수축력 증가 (그러나 beta2가 혈관 확장시켜서 혈압 증가 없음)
isoproterenol beta 수용체만! : 
milrionone phosphodiesterase III inhibitor 로서 cAMP대사를 막아줌 -> 전부하, 후부하 모두 감소

- 쇼크(shock)의 종류와 치료 

 

(1) 저혈량 쇼크 : 혈장량의 회복이 목표! 

 -> 수액(0.9%식염수, 링거젖산용액) , 농축 적혈구, 응급개복술

(2) 심장성 쇼크 : 심장의 수축력 회복이 목표! : 

-> 급성 폐부종 동반시 치료 필요 

-> 혈압에 따라 일차 치료가 달라질 수 있음

    1) BP > 100mmHg : preload을 줄이도록 nitroglecerine IV 

    2) BP 70~100mmHg, 쇼크 징후 없음 :  심장 수축력 증가(beta위주) : Dobutamine IV 

    3) BP 70~100mmHg, 쇼크징후 있음 :  심장 수축력 증가(beta위주 용량)  : Dopamine IV

    4) BP < 70mmHg , 쇼크 징후 : 혈압 올리는 것이 우선(alpha 위주) : Norepinephrine IV

(혈장량 증가를 위한 수액요법은 급성 폐부종을 유발할 수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다!) 

 

(3) 폐쇄성 쇼크

(4) 분산 쇼크 :

   - 아나필라틱 쇼크 (심박출량 감소) : Epinephrine IV

   - 신경성 쇼크 (심박출량 감소)  : Trendelenburg's position, relative hypovolemia  

   - 패혈증 쇼크 (심박출량 증가) : 수액공급 -> Norepinephrine IV

 

cf) 아나필라틱 쇼크, 신경성 쇼크 모두 심장으로 돌아가는 정맥에 대해서 혈관 확장이 일어나 CO가 감소하지만

패혈증의 경구 심장에서 나오는 동맥에 대해서 혈관 확장이 일어나 혈압이 감소할 수 있어서 이에 대한 보상작용으로 CO이 증가 (Frank-Starling mecahnis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