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대학원생/잡다한것들 16

대학원 진학시 인터넷 200% 활용법

오늘은 대학원을 진학할 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팁을 공유하고자 한다. 먼저 김박사넷. 김박사넷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평이 있는 랩 아니면 신임교수라서 평이 없는 랩. 평이 있는 랩은 오각형이 꽉차 있고 칭찬이 많은 랩이 있는 방면 오각형은 한없이 찌그러져 있는 곳도 있다. 평균적으로 오각형이 꽉찰수록 좋지만 어느 이유에 의해서 오각형이 가득 차고 좋은 댓글이 적힐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반대로 오각형이 찌그러진 것도 단순히 교수와의 상성이 좋지 않는 학생이 작성을 했을 수 있다. -> 그렇기 때문에 오각형이랑 댓글만을 믿으면 안된다. 그러면 어떤것을 추가로 하는게 좋을까?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의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는 것이다. 두 번째. 교수님을 직접 보자. 자신이 졸업과는 시간 차이가 조금 있..

[읽어볼 만한 책들]#3 과학자의 생각법

“생각의 탄생” 저자 로버트 루트번스타인의 이전 작품이다. (우리나라에 출간된 것은 더 늦지만 영어로는 먼저 나온 책이다) “생각의 탄생”이 창의적인 생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에 대해 기술해 놓은 책이라면 이 책은 위대한 과학자들의 생각이 어떠했는지를 세세하게 서술한 책이다.파스퇴르 혹은 플레밍과 같은 1900년대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책이지만, 지금의 과학자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이 되는 책인 것 같아 추천을 한다. 긴 책에서 특히 내게 감명 깊었던 부분을 짧게 서술하자면 “과학 자체가 자신의 삶이고 즐기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라면 놓쳤을 법한 것도 발견을 하게된다”이다. 나는 대학원생이고 당연한 말임에도 불구하고 흥미로웠던 이유는 즐기는 것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책을 읽으면서 이..

[읽어볼 만한 책들]#2 Big Conversations 대담한 대담

이 책은 이 시리즈의 #1 우리는 모두 각자의 별에서 빛난다 라는 책과 결이 유사한 책이다. 거대 기업들의 회장들과 황창규 박사님이 만나서 나눈 이야기를 옮겨 적은 책이다. 이광형 총장님의 책과 유사하게 읽고나면 도전에 대한 열정이 타오르게 되는 책이다. 간단히 저자에 대해 이야기 하고 넘어가자면, Hwang's Law(메모리 반도체의 용량은 1년에 두 배씩 늘어난다)을 만들어낸 분이시다. 우리나라 반도체 성장의 핵심을 이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한다. 내가 반도체 분야의 대학원생이 아니기에 어떤 정도의 평가를 받으시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자신의 이름을 딴 법칙이 있고 우리나라 반도체 역사를 관통하시는 분이라 하면 위대한 공학자임에는 분명한 것 같다. 이 책은 황 박사님께서 여러 기업의 회장들과 만..

[읽어볼 만한 책들] #1 우리는 모두 각자의 별에서 빛난다

이번 시리즈는 내가 살면서 읽었던 책들 중 감명깊었던 책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다른 포스팅에서는 내가 주로 영상을 소개했었는데, 실제로 나는 영상보다는 책을 더 선호하기는 한다. 책에 더 자세한 내용이 나와있기 때문에 깊이 알고 싶은게 있을 때는 책을 집어든다. https://link.coupang.com/a/uUcez 오늘 소개하고자 하는 책은 우연히 알게 됐지만 굉장히 재밌게 읽었던 책이다. 바로 KAIST 이광형 총장님의 책이다. 유퀴즈 프로그램에 출연하셨을 때 보여주신 모습들이 독특하면서도 확실한 신념을 갖고 계신 모습을 보면서 어떤 분인지 조금 더 이해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우연히 이광형 총장님이 쓰신 책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고 바로 집어서 읽었다. 책은 12개의 강의 형식으로 구..

[대학원생에게 도움이 될만한 사이트들] #2 bitesize bio & ibiology

생명과학 대학원생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사이트들 2탄을 적어보려한다. 1탄은 네트워킹에 관한 것이라면 2탄은 지식을 쌓는 것에 대한 것이다. 한국은 ibric과 같은 커뮤니티 사이트는 있지만 실험을 하는 사람들이 참고할만한 사이트가 있지는 않다. 또한 K-mooc과 같은 인터넷 강의들이 생겨나지만 연구에 대한 것들을 접하기에는 아직 조금 아쉬움이 있다. (우리나라도 많이 발전하고 있지만 더 좋은 사이트가 있어서 공유하고자 하는 것이니 참고만 하면 된다.) 1. Bitesize bio (한국말로하면 한입거리 생물 정도 되겠다. 어감이 좋다) https://bitesizebio.com/ Bitesize Bio - Life Science and Bioscience Articles for Biology Resea..

[대학원생에 도움이 될 만한 사이트들] #1 K-bioX & BRIC

나는 이 블로그 주인의 남편이고 생명과학 분야의 대학원생이다. 아내가 의과대학을 다니면서 얻은 노하우들을 이 블로그에 적는 모습을 보며 나도 언젠가는 공유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그렇지만 매번 내가 어떤 것으로 글을 써야 할지 몰라 미루기만 했었는데, 아내와 얘기하면서 시작이 중요함을 깨달았다. 내가 자주 읽고 사용하는 사이트 혹은 글들부터 시작해서 점차 그 범위를 넓혀나가고자 한다. 오늘의 주제는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자라면 알아두면 좋은 두 가지 커뮤니티를 소개하고자 한다. BRIC과 K-bioX이다. 1. BRIC : 생명과학 연구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커뮤니티이다. https://www.ibric.org/ BRIC 연재 성과뉴스 랭킹뉴스 생명과학 의약학 농수식품 산업 정책·오피니언 끝없는 걱정과 고..

728x90
반응형